EEALL@ONCE
🔦MVVM (Model-View-ViewModel) 패턴이 뭔데? 본문
- '모델(Model)'은 데이터 레이어를 나타내며, 데이터베이스 심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 '뷰(View)'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며, 화면과 버튼으로 나타납니다.
- '뷰모델(ViewModel)'은 중재자 역할을 하며, 모델과 뷰 사이에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있습니다.
MVVM (Model-View-ViewModel) 패턴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분리된 관심사(Separation of Concerns): MVVM은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모델, 뷰, 뷰모델로 나눕니다. 이로 인해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관리되고, 변경될 때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을 변경할 때 데이터 로직이나 비즈니스 로직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유지보수 용이성(Maintainability): 코드가 잘 구조화되어 있고, 각 부분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당 부분을 쉽게 찾아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재사용성(Reusability): 뷰모델은 뷰와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뷰와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크로스 플랫폼 개발에서 유용합니다.
- 테스트 용이성(Testability): 뷰모델은 UI 로직과 분리되어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없이도 테스트하기 쉽습니다. 이는 단위 테스트와 자동화된 테스트를 용이하게 합니다.
- 반응형 프로그래밍(Reactive Programming): MVVM은 데이터 바인딩과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지원하여, 데이터의 변화가 자동으로 UI에 반영되도록 합니다. 이는 개발자가 수동으로 UI를 갱신하는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게 만듭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MVVM 패턴은 특히 복잡하고 대규모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하며, 효율적인 개발과 우수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데이터 바인딩(Data Binding)
데이터 바인딩은 프로그램의 UI 부분과 데이터를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받는 텍스트 박스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 전통적인 방식: 사용자가 텍스트 박스에 이름을 입력하면, 프로그램은 이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데이터를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입력할 때마다 이런 과정을 반복해야 합니다.
- 데이터 바인딩을 사용할 때: 텍스트 박스와 프로그램의 사용자 이름 데이터가 '바인딩'됩니다. 즉, 사용자가 텍스트 박스에 무언가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의 해당 데이터가 업데이트됩니다. 반대로,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텍스트 박스에 표시되는 내용도 갱신됩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Reactive Programming)
반응형 프로그래밍은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시스템이 반응하도록 만드는 프로그래밍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나이를 입력받아 '성인' 또는 '미성년자'를 표시하는 라벨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전통적인 방식: 사용자가 나이를 입력할 때마다, 프로그램은 '성인' 또는 '미성년자'를 결정하기 위해 특정 함수를 호출해야 합니다.
-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사용할 때: 나이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성인' 또는 '미성년자' 라벨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프로그래머는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수동으로 UI를 업데이트하는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데이터 바인딩과 반응형 프로그래밍은 개발자가 UI 업데이트를 위한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것을 줄여주고, 데이터와 UI 간의 동기화를 자동화하여 개발 과정을 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만듭니다.
- 데이터 바인딩: 만화 캐릭터가 컴퓨터에 'Alice'라고 타이핑하는 모습이 있습니다. 캐릭터 옆에 말풍선이 'Alice'라고 보여주며, 큰 화면에도 실시간으로 'Alice'라는 이름이 업데이트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가 UI에 자동으로 반영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 반응형 프로그래밍: 같은 캐릭터가 '나이'라고 표시된 슬라이더를 조절하는 모습입니다. 슬라이더를 조절하면, '아동'과 '성인' 라벨이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밝아지거나 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가 변경될 때 UI가 자동으로 반응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데이터 바인딩과 반응형 프로그래밍이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려면, 이들 기술이 어떻게 데이터와 UI(사용자 인터페이스) 간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데이터 바인딩(Data Binding)
데이터 바인딩은 UI 요소와 데이터 소스를 직접 연결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이 연결 덕분에, 데이터 소스의 값이 변경되면 자동으로 UI 요소가 업데이트됩니다. 반대로, UI 요소에서의 사용자 입력이 데이터 소스에도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이를 위해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는 내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 감시(Monitoring): 데이터 소스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해, 프레임워크는 특정 데이터 요소를 '감시'합니다.
- 업데이트(Updating): 데이터가 변경되면, 연결된 UI 요소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이는 '바인딩'이라 불리는 연결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Reactive Programming)
반응형 프로그래밍은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시스템이 자동으로 반응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은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s)'과 '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입니다:
-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s): 데이터 요소들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값들의 스트림으로 표현됩니다.
- 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 이 패턴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에 변화가 생길 때마다 '옵저버(Observer)'라고 불리는 구독자들이 알림을 받고, 필요한 반응(예: UI 업데이트)을 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해, 데이터의 변경이 UI에 실시간으로 반영되며, 반대로 UI에서의 사용자 동작이 데이터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과정은 프로그래머가 직접적으로 관리할 필요 없이,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데이터와 UI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더 적은 코드를 작성하며,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커맨드(Command)'의 개념을 설명합니다. 만화 캐릭터가 '커맨드'라고 적힌 큰 빨간 버튼을 누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로봇이 움직이거나 빛이 켜지는 등 다양한 동작이 일어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커맨드가 프로그램 내에서 어떤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는 지시(instruction)임을 나타냅니다.
'컴포넌트(Component)'의 개념을 설명합니다. 다양한 색깔의 블록들이 '버튼(Button)', '슬라이더(Slider)', '텍스트 필드(Text Field)'와 같은 다양한 컴포넌트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들이 모여 로봇이나 기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컴포넌트들이 개별적인 부분들이 모여 완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분류없음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일급 객체 / 고차 함수 가 뭔데? (2) | 2023.12.21 |
---|---|
🔦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0) | 2023.12.20 |
🔦노출모듈패턴이 뭔데? (0) | 2023.12.19 |
🔦이터레이터(iterator)가 뭔데? +이터레이터 패턴 (1) | 2023.12.19 |
🔦DNS 가 뭔데? (0) | 2023.12.14 |